오늘의 코드

help(map)

a,b = map(int,input().split())
print(a*b)

백준 파이썬으로 시작하며 배운 점들

#iterable 범위가 있기 때문에 반복이 가능하다. 리스트 문자열 사전형 집합 등 모두 범위가 있음
#__new__는 객체의 인스턴스화에서 호출되는 첫 번째 메서드
#implement 뜻 : 도구 
#__iter__는 iter(self)함수로 가기 위한 도구 매직 메서드이다.
#iter(self) 함수는 iterator 객체를 만드는 함수 
#next(self) 함수는 사용할 때마다 첫 번째 두 번째 세 번째 값이 차례로 출력된다.
#python3의 map은 2와 달리 클래스이다. 그래서 map object를 반환한다.
#map object를 list object처럼 쓰려면 list(map())로 사용한다. 그럼 int로 쓰려면
#int(map())
#즉 map은 iterables들에서 하나씩 next로 가져와서 iter로 function을 수행하는 클래스
#map의 첫번째 인자는 함수형으로 뒤에 올 iterables 한 객체들의 하나의 원소에 각각 해줄 기능을 의미
#map의 두번째 인자는 iterables 한 객체로 반복적으로 꺼낼 객체들

iterable: 반복 가능한 객체 list dict set str bytes tuple range

Iterator: 값을 차례대로 꺼낼 수 있는 객체입니다.

__iter__iterable 객체가 가진 매직메소드 iterator 생성 가능

클래스에 매직을 추가하기 위해 정의할 수 있는 특수한 메서드 보통 __메서드__로 표기

map(func, iterables) return map object

 

myroutine어플이 웹으로도 사용할 수 있대서 시작할 때 바로 눈에 보이도록 하기 위해

시작 프로그램 스케줄러 만들기 cmd - taskschd.msc - 이름 설정

사용자가 로그온 할 때만 실행

트리거-로그온 할 때 사용자가 로그온할 때 사용

프로그램 시작-시작할 프로그램의 path

나는 마이 루틴 웹사이트를 실행했다.

 

클린 코드-로버트 C. 마틴 지음 중...

오류처리를 신경 써라(메모리 누수 경쟁상태

클린 코드는 세세한 사항까지 꼼꼼하게 즉 꼼꼼한 개발자가 되자! 

하나의 함수는 하나의 기능만 담자

한꺼번에 많은 것을 하려면 복잡하고 알아보기 힘들다

특정 언어를 신봉하는 광신자가 많은데 프로그램을 깨끗하고

단순하게 보이도록 만드는 열쇠는 언어가 아니라 프로그래머이다.

(언어는 아무런 상관이 없다. 하지만 나는 아직 느껴보지 못했다.)

'오늘의 메모' 카테고리의 다른 글

21.02.08  (0) 2021.02.08
21.02.07  (0) 2021.02.08
21.02.05  (0) 2021.02.05
21.02.04  (0) 2021.02.04
21.02.03  (0) 2021.02.03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