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753번 윤년 문제 python
# 주어진 년도
givenYear = int(input())
# 윤년은 년도가 4의 배수이면서 100의 배수가 아닐 때 또는 400의 배수인 경우이다.
if((givenYear % 4 == 0 and givenYear % 100 != 0) or givenYear % 400 == 0):
	print("1")
else:
	print("0")



#2438번 별 찍기 문제
n = int(input())

for i in range(1, n+1):
	# 범위를 쓸 때는 range() 사용 
    # 오류난걸 잘 읽어보자
    for star in range(i):
    	print("*", end = '')
    # python은 print() 자체에 '\n'이 있다.
    print()



#2439번 별 오른쪽 정렬
n = int(input())

for i in range(1, n+1):
	# 범위를 쓸 때는 range() 사용 
    # 오류난걸 잘 읽어보자
    for i in range(n-i):
    	print(" ",end = '')
    for star in range(i):
    	print("*", end = '')
    # python은 print() 자체에 '\n'이 있다.
    print()
    
    
    
# 10871번
n, x = map(int, input().split())
# list를 입력받을 떄는 list클래스를 이용한다. 
# 들어온 argument(매개변수)를 list화 한다.
a = list(map(int, input().split()))
for i  in range(n):
	if(a[i] < x):
    	print(a[i], end = ' ')

오늘의 IT영단어

quote : 작은따옴표 single quote->double quote (Emmet의 역할)

boilerplate: 상용구 코드, 항상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코드 ex) html5의! DOCTYPE~~

 

클린 코드 17p 중

대부분의 노력은 코드를 짜는데 들어가지 않고 화면을 스크롤하거나

모듈을 찾고 생각하는 등  코드를 읽는데!! 들어가는 시간의 비율이 훨씬 많다.

급할수록 읽기 쉬운 코드를 만드는데 투자하라

보이스카우트 규칙: 캠핑장을 처음 왔을 때보다 더 깨끗하게 해 놓고 떠나라

-> 시간이 지날수록 코드가 좋아지는 지속적인 개선이야말로 장인정신이다.

 

이연님이 말하는 내가 매년 꿈을 이룰 수 있던 이유

연. 월. 일 목표를 점점 작게 작게 썰어서 관리한다.

'''제가 그걸 바라지 않으면 그 일이 일어나지 않아요.

그걸 바라고 생각해야 이루어지거든요. 바라는 건 무조건 이득인 거야

이걸 해야 된다기보다는 이걸 원해 또는 어떤 사람이 되고 싶은지 정리한다.'''

 

엄마와의 대화 중

한 개라도 제대로 풀면 응용을 시킬 수 있다.

한 개라도 제대로 푸는 방법은 시간을 두고 문제를 푼다.-> 아는 것과 모르는 것이 명확해진다.

한 번에 시간 안에 맞게 푼 것이 아닌 경우 꼼꼼하게 다시 푼다.

다음 날에는 다른 문제를 푼다. 

일주일 뒤에 처음 풀었던 문제를 시간을 두고 다시 풀어본다. 

시간 안에 맞게 푼 경우 그 문제는 내 문제가 된다.

시간을 두고 풀 때는 긴장감을 유지해야 한다.

언어도 마찬가지이다. 한 가지를 제대로 쓸 줄 알면

다음 언어 또는 다른 언어를 배우는 데 시간이 줄어든다.

 

나의 생각

내가 작성한 문제 풀이 코드를 타자연습으로 하는 프로그램을 python으로 만들면 어떨까?

문제풀이.py에 접근할 수 있어야 한다. 

그 안의 모든 코드들을 문자열로 받을 수 있어야 한다.

한 줄당 출력을 하고 입력을 받아야한다.

출력 문자열과 입력 문자열을 비교해야한다.

맞다면 넘어가고 +10점을 더하고 1초마다 -2점씩 깎아야한다.

틀리다면 그 문장을 다시 입력하도록 한다. 점수는 깎이지 않음

 

 

'오늘의 메모' 카테고리의 다른 글

21.02.08  (0) 2021.02.08
21.02.07  (0) 2021.02.08
21.02.05  (0) 2021.02.05
21.02.04  (0) 2021.02.04
21.02.02  (0) 2021.02.02

오늘의 코드

help(map)

a,b = map(int,input().split())
print(a*b)

백준 파이썬으로 시작하며 배운 점들

#iterable 범위가 있기 때문에 반복이 가능하다. 리스트 문자열 사전형 집합 등 모두 범위가 있음
#__new__는 객체의 인스턴스화에서 호출되는 첫 번째 메서드
#implement 뜻 : 도구 
#__iter__는 iter(self)함수로 가기 위한 도구 매직 메서드이다.
#iter(self) 함수는 iterator 객체를 만드는 함수 
#next(self) 함수는 사용할 때마다 첫 번째 두 번째 세 번째 값이 차례로 출력된다.
#python3의 map은 2와 달리 클래스이다. 그래서 map object를 반환한다.
#map object를 list object처럼 쓰려면 list(map())로 사용한다. 그럼 int로 쓰려면
#int(map())
#즉 map은 iterables들에서 하나씩 next로 가져와서 iter로 function을 수행하는 클래스
#map의 첫번째 인자는 함수형으로 뒤에 올 iterables 한 객체들의 하나의 원소에 각각 해줄 기능을 의미
#map의 두번째 인자는 iterables 한 객체로 반복적으로 꺼낼 객체들

iterable: 반복 가능한 객체 list dict set str bytes tuple range

Iterator: 값을 차례대로 꺼낼 수 있는 객체입니다.

__iter__iterable 객체가 가진 매직메소드 iterator 생성 가능

클래스에 매직을 추가하기 위해 정의할 수 있는 특수한 메서드 보통 __메서드__로 표기

map(func, iterables) return map object

 

myroutine어플이 웹으로도 사용할 수 있대서 시작할 때 바로 눈에 보이도록 하기 위해

시작 프로그램 스케줄러 만들기 cmd - taskschd.msc - 이름 설정

사용자가 로그온 할 때만 실행

트리거-로그온 할 때 사용자가 로그온할 때 사용

프로그램 시작-시작할 프로그램의 path

나는 마이 루틴 웹사이트를 실행했다.

 

클린 코드-로버트 C. 마틴 지음 중...

오류처리를 신경 써라(메모리 누수 경쟁상태

클린 코드는 세세한 사항까지 꼼꼼하게 즉 꼼꼼한 개발자가 되자! 

하나의 함수는 하나의 기능만 담자

한꺼번에 많은 것을 하려면 복잡하고 알아보기 힘들다

특정 언어를 신봉하는 광신자가 많은데 프로그램을 깨끗하고

단순하게 보이도록 만드는 열쇠는 언어가 아니라 프로그래머이다.

(언어는 아무런 상관이 없다. 하지만 나는 아직 느껴보지 못했다.)

'오늘의 메모' 카테고리의 다른 글

21.02.08  (0) 2021.02.08
21.02.07  (0) 2021.02.08
21.02.05  (0) 2021.02.05
21.02.04  (0) 2021.02.04
21.02.03  (0) 2021.02.03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