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753번 윤년 문제 python
# 주어진 년도
givenYear = int(input())
# 윤년은 년도가 4의 배수이면서 100의 배수가 아닐 때 또는 400의 배수인 경우이다.
if((givenYear % 4 == 0 and givenYear % 100 != 0) or givenYear % 400 == 0):
print("1")
else:
print("0")
#2438번 별 찍기 문제
n = int(input())
for i in range(1, n+1):
# 범위를 쓸 때는 range() 사용
# 오류난걸 잘 읽어보자
for star in range(i):
print("*", end = '')
# python은 print() 자체에 '\n'이 있다.
print()
#2439번 별 오른쪽 정렬
n = int(input())
for i in range(1, n+1):
# 범위를 쓸 때는 range() 사용
# 오류난걸 잘 읽어보자
for i in range(n-i):
print(" ",end = '')
for star in range(i):
print("*", end = '')
# python은 print() 자체에 '\n'이 있다.
print()
# 10871번
n, x = map(int, input().split())
# list를 입력받을 떄는 list클래스를 이용한다.
# 들어온 argument(매개변수)를 list화 한다.
a = list(map(int, input().split()))
for i in range(n):
if(a[i] < x):
print(a[i], end = ' ')
오늘의 IT영단어
quote : 작은따옴표 single quote->double quote (Emmet의 역할)
boilerplate: 상용구 코드, 항상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코드 ex) html5의! DOCTYPE~~
클린 코드 17p 중
대부분의 노력은 코드를 짜는데 들어가지 않고 화면을 스크롤하거나
모듈을 찾고 생각하는 등 코드를 읽는데!! 들어가는 시간의 비율이 훨씬 많다.
급할수록 읽기 쉬운 코드를 만드는데 투자하라
보이스카우트 규칙: 캠핑장을 처음 왔을 때보다 더 깨끗하게 해 놓고 떠나라
-> 시간이 지날수록 코드가 좋아지는 지속적인 개선이야말로 장인정신이다.
이연님이 말하는 내가 매년 꿈을 이룰 수 있던 이유
연. 월. 일 목표를 점점 작게 작게 썰어서 관리한다.
'''제가 그걸 바라지 않으면 그 일이 일어나지 않아요.
그걸 바라고 생각해야 이루어지거든요. 바라는 건 무조건 이득인 거야
이걸 해야 된다기보다는 이걸 원해 또는 어떤 사람이 되고 싶은지 정리한다.'''
엄마와의 대화 중
한 개라도 제대로 풀면 응용을 시킬 수 있다.
한 개라도 제대로 푸는 방법은 시간을 두고 문제를 푼다.-> 아는 것과 모르는 것이 명확해진다.
한 번에 시간 안에 맞게 푼 것이 아닌 경우 꼼꼼하게 다시 푼다.
다음 날에는 다른 문제를 푼다.
일주일 뒤에 처음 풀었던 문제를 시간을 두고 다시 풀어본다.
시간 안에 맞게 푼 경우 그 문제는 내 문제가 된다.
시간을 두고 풀 때는 긴장감을 유지해야 한다.
언어도 마찬가지이다. 한 가지를 제대로 쓸 줄 알면
다음 언어 또는 다른 언어를 배우는 데 시간이 줄어든다.
나의 생각
내가 작성한 문제 풀이 코드를 타자연습으로 하는 프로그램을 python으로 만들면 어떨까?
문제풀이.py에 접근할 수 있어야 한다.
그 안의 모든 코드들을 문자열로 받을 수 있어야 한다.
한 줄당 출력을 하고 입력을 받아야한다.
출력 문자열과 입력 문자열을 비교해야한다.
맞다면 넘어가고 +10점을 더하고 1초마다 -2점씩 깎아야한다.
틀리다면 그 문장을 다시 입력하도록 한다. 점수는 깎이지 않음